정부에서는 실업 상태에서 안정적인 생활을 위해 실업급여는 지원해주고 있는데요. 특히 60세 이상 고령층의 경우, 재취업이 쉽지 않은 만큼 실업급여를 활용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60세 이상 실업 인정 수급 조건 및 신청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60세 이상 실업급여 수급 조건
1️⃣ 고용보험 가입 이력
60세 이상이라도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일정 기간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어야 하는데요. 최근 18개월 내 최소 180일 이상 고용보험에 가입했어야 합니다.
2️⃣ 비자발적 실업
실업급여는 자발적인 퇴사가 아닌 회사 사정에 의한 퇴사나 정당한 사유가 있는 자발적 퇴사일 경우 인정됩니다.
예: 회사 구조조정, 폐업, 임금체불, 직장 내 괴롭힘 등.
3️⃣ 적극적인 구직 활동
실업 상태에서도 적극적으로 구직 활동을 해야 실업 인정이 가능합니다. 이를 위해 구직 활동 증빙자료를 제출해야 하며, 워크넷(WorkNet) 등 온라인 플랫폼에서 이력서를 등록하는 것도 구직 활동으로 인정됩니다.
신청 방법 및 절차
1. 고용보험 홈페이지 접속
고용보험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실업급여 신청 메뉴를 선택하세요.
🔗 고용보험 홈페이지 바로가기
2. 고용보험 센터 방문
온라인 신청이 어렵다면 가까운 고용보험 센터를 방문해 직접 상담 및 신청할 수 있습니다. 방문 전 퇴사증명서, 고용보험 가입 확인서, 주민등록증을 준비하세요.
3. 구직 등록
워크넷에서 구직 등록을 완료해야 실업급여 신청이 가능합니다.
🔗 워크넷 구직 등록 바로가기
4. 실업 인정 신청
실업급여는 한 번의 신청으로 끝나지 않습니다. 2주에 한 번씩 실업 상태를 인정받아야 합니다. 실업 인정은 온라인으로도 가능하며, 고용센터 방문을 통해서도 진행할 수 있습니다.
60세 이상 실업급여 수급액 계산법
실업급여는 퇴직 전 평균임금의 60%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.
최대 1일 지급 상한액은 2025년 기준 77,500원이며, 최소 지급액은 법정 최저임금의 80%입니다.
예시: 월평균 급여 200만 원 → 1일 실업급여 약 60,000원
정확한 금액 계산은 고용보험 홈페이지의 실업급여 계산기를 활용하세요.
🔗 실업급여 계산기 바로가기
주의 사항
구직 활동 의무를 소홀히 하면 수급 자격이 박탈될 수 있습니다. 60세 이상도 건강한 상태라면 재취업이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해야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.
실업급여는 최대 240일 동안 지급됩니다.
마무리하며
60세 이상 실업급여는 안정적인 노후를 지원하는 중요한 제도입니다. 위 내용을 참고하여 빠짐없이 준비하고, 꼭 필요한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!
💌 더 궁금한 사항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세요.